[연작] 성산 장기려, 뒷산의 바윗돌로 남은 성자
Photo By Skyraider
모란공원에는 열사묘역만 있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일반인들이 묻힐 공간이 훨씬 넓은 우리가 흔히 만날 수
있는 공동묘지 중 하나일뿐이다. 묘비마다 각자의 사연이 적혀있고
저마다 다른 사람들이 쉬고 있는 곳일 따름이다.
하지만, 그 곳에서 나는 그를 만났다.
성산 장기려.
현재 우리나라의 기독교 신자는 신구교를 합쳐 1000만명이 넘는다고
한다. 하지만, 그들 중 예수의 가르침대로 사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내 자신도 가슴에 손을 얹고 생각해보건데, 그런 질문 앞에서
초라해지는 '짝퉁 신자'로 살아가고 있다.
종교라는 것은 보편적인 부분이 하나있다.
신의 가르침대로 사는 사람은 그 신이 예수님이건, 부처님이건 의인의
모습을 가지게 된다는 것.
어쩌면 이 땅이 소돔과 고모라처럼 불벼락을 맞지 않은 것은 장기려
박사와 같은 의인들이 있었기 때문이 아닐까.
장기려 [張起呂, 1911~1995.12.25]
평안북도 용천 출생.
1932년 경성의학전문학교를 졸업한 후 평양의과대학 외과교수, 평양도립병원장 및 김일성종합대학 교수를 지냈다.
그는 의사가 된 동기를 ‘의사를 한 번도 못 보고 죽어가는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뒷산 바윗돌처럼 항상 서 있는 의사가 되기 위해서’라고 밝혔다.
1950년 12월 아내 김봉숙(金鳳淑)과 5남매를 북한에 남겨 두고 차남 가용(家鏞)만을 데리고 월남하여 이듬해부터 부산 영도구에
천막을 치고 복음병원을 세워 행려병자를 치료하였다.
1968년에는 한국 최초의 의료보험조합인 청십자(靑十字) 의료보험조합을 설립 운영하였으며, 전간 환자 치료모임인 ‘장미회’를 설립하여
그 치료에도 정성을 쏟았다.
이러한 의료활동 외에도 부산대학교·가톨릭대학교·서울대학교 등에서 강의하였으며, 1959년 국내 최초로 간대량(肝大量) 절제수술에
성공하였다.
1976년 국민훈장 동백장을 받았으며, 1979년, 필리핀에서 막사이사이상(사회봉사 부문)을 받았다.
1991년에는 미국의 친지로부터 북한에 가족이 살아 있다는 소식 아래 아내의 편지와 가족 사진을 받은 뒤 재회를 기다렸으나 지병인
당뇨병으로 운명하였다.
1975년 복음병원에서 정년퇴임한 후에도 집 한 채가 없어, 고신대학교 복음병원이 병원 옥상에 마련해준 20여 평 관사가
전부일 정도로 평생을 무소유로 일관하였다.
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
...그를 마지막에 찾아 오는 환자들은 대부분 다른 병원에서 모든 재산을 탕진하고도 병을 고칠 길 없어 마지막 희망으로 그를
선택한 가난한 환자들이 많았다고 합니다.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병을 고쳤으면서도 돈이 없어 퇴원하지 못하던 환자들을 병원
뒷 문을 열어주며 도망보낸 박사의 일화는 아직도 남아있죠.
애초에 의사가 돈을 밝히는 것 자체를 죄악처럼 생각했다는 그의 모습에서 그에게 붙은 '한국의 슈바이처'라는 별명이 오히려 하찮게 느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