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곳에 가고싶다,,, 용호2동의 오륙도 근방에 자리잡은 용호농장은 한센씨 병을 가진 사람들의 정착지였다. 현재 용호농장에 거주하고 있는 한센씨 가족은 몇 안 되지만, 그들이 이곳으로 이주와 정착까지의 우여곡절은 인간들의 이기심과 세상의 편견이 만들어낸 소외와 한의 역사라 할 수 있다. 1909년 감만동 한센병원에서 시작하여 일제 시대, 행방, 미군정, 군사독재, 민주화에 이르기까지 우리 현대사의 구석진 곳에서 그들은 최소한의 생존 터전을 자리잡고 일구기 위해 각고의 노력은 물론 온갖 고통까지 견뎌내야 했다. 초창기 선교사들의 관심으로 이들은 1911년부터 상애원 한센 병원에서 치료를 받으면서 재활의 의지를 다졌다. 그러나 일본 군국주의의 득세로 내외적 신앙 성장과 의료 사업에 많은 압력과 장애가 다가왔다. 이같은 걸림돌이 있긴 했지만, 기독교적 구원과 인간애로 상애원은 점점 사랑의 동산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 하지만, 1940년대에 2차 세계대전의 여파로 일제는 당시 군용지였던 용호동산 2번지 부근인 감만동 상애원에는 외국인, 특히 적국인 미국, 영국, 호주 등의 사업 기관은 둘 수 없다고 하여 한센 환자들을 돌보던 선교사들이 쫓겨나게 되었다. 당시 총독부에서는 1940년 12월 말까지 자진 이전이 불가능하면 소록도로 강제 이송하겠다는 엄명까지 내렸다. 그러나 감만동 상애원은 이전할 수 없는 형편이었고 결국 총독부에 의한 강제 철거가 눈앞에 이르자, 그해 10월부터 그들은 각자의 길을 떠나게 되었고 그래도 갈 곳 없는 사람들은 12월 소록도로 강제 이송되고 만다. 당시 600여 명 가운데 200여명은 스스로 길을 찾아 떠났고, 일제의 두 차례에 걸친 강제 이송에도 불구하고 감만동 상애원을 그대로 지키던 사람도 있었으나, 일제의 끈질긴 압력에 이듬해(1941) 3월 소록도로 떠나게 되어 여기서 감만동 시절을 마감하게 된다. 1945년 8월 15일 해방, 그해 9월경 한센 식구 몇몇이 재회한 장소는 감천동이었다. 과거 상애원 식구들이 감천동에서 재활의 삶을 시작했다는 소식이 경남 일대에 전해지자 흩어졌던 이들이 하나 둘씩 모여 들었다. 그러나 감천동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아 더 이상 생활할 수 없었다. 물론 가장 큰 벽은 주민들의 반대였다. 그때, 경남 노회 사회부 주선으로 1945년 10월 15일 영도 동삼동(현 태종대)에 이른바 '박애원 교회'이름으로 교회를 재건했는데, 당시 동삼동은 미군이 관할하였기 때문에 미국 선교부 선교사들의 도움으로 270여 명의 한센 식구들이 생활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여기서도 힘들기는 마찬가지였다. 의류, 주거문제, 특히 지역적 특성을 인한 식량의 운송 문제 등 제반여건들이 좋지 못했으며, 또한 갑자기 닥쳐온 장티푸스로 인해 70명에 100명 가까이 사망하는 불운을 겪어야 했다. 그렇게 6개월 가량이 지나갔을 때, 드디어 이들에게는 꿈에도 그리던 오롯한 정착지가 주어졌으니 이곳이 바로 현재의 용호 농장이었던 것이다. 미국의 월슨 박사(당시 여수 애양 병원장)와 상애원 대표 몇 사람의 수 차례에 걸친 답사 끝에 용호 동산을 새 정착지로 결정하고, 당시 군사 작전 지역이었던 이곳을 허락받고 1946년 3월부터 그해 7월까지 용호동 주민의 반발을 다소나마 줄이기 위해 시차를 두면서 배편으로 약 270여명이 이주하였다. 감만동 한센병원에 수용 중이던 환자들을 소록도로 강제 이주시키자 함께 가기를 반대하는 그 가족들을 윤창수 원장이 주축이 되어 200여명의 연명으로 정부에 호소하여 허락을 받아내고 그곳에 이주해서 정착하게 된 곳이다. 그 당시 이주한 사람의 수는 270여명이었다. 양성봉씨가 이곳의 관리자로서 경상남도 도지사로 있을 때에, 한센씨병 환자의 이주를 둘러싸고 용호동 본동 사람들과 분란이 있을 것을 염려하여 용호동 동민들이 모르게 밤에 바다를 통하여 갑자기 들어오게 했다고 전하고 있다. 그 뒤 용호동 본동 사람들과는 마찰이 아주 많았다고 한다. 당시에 이곳에 있던 치안대를 돌려보내고 국립 나환자수용소를 만들어 이들을 수용하였다. 그 중에서 양성환자들은 소록도 병원으로 보내지고 음성환자들만 남아 자활의 길을 걷게 되었는데, 이들이 농장을 경영하면서 닭과 돼지를 기르게 된 것이다. 지금은 음성환자마저도 없다고 한다. 이곳의 지리적 특성은 북편으로는 장산봉이 북풍의 찬바람을 막아주고, 그 기슭 사이로 옥천이 굽이굽이 흐르고 있으며, 남으로는 드넓게 펼쳐진 태평양 바다 위에 오묘한 조화로 오륙도가 보인다. 사람이 생활하기에는 천혜의 요지라고 해도 좋을 만큼이다. 일제 시대에 방어 요충지로 각각의 포마다 위장하여 호를 파서 진지를 구축한 흔적이 있는데, 현재는 11개 굴 중 6개만 남아 있다. 이들의 생활 방식은, 자신들의 병은 전염성이나 유전성이 전혀 없는 것으로 확신하며 결핵을 가장 두려워하여 한때 결핵 환자는 격리시켜 생활한 적이 있다고 한다. 굿을 비롯한 민속 행사는 없으며 4월 10일을 개원 기념일로 잡아 씨름, 축구, 마라톤, 학생 운동회 등이 열리고 있다. 이곳은 주로 채소, 계란등을 생산하고 있으며, 돼지를 다량 기르고 있으나, 거의 떠나고 22명만 남아 있는 지금은 장소임대로 대부분 가구 공장이 들어섰다. 이곳의 불하받은 70여만평을 효성그룹의 (주)동성에서 인수했으며, 현재 22명의 집단생활도 곧 해체될 전망이다. 그들은 자신들의 2세에는 한센씨 병을 앓는 사람이 거의 없어질 것이며, 현재 1세만으로 끝내고자 하는 의지가 강하다. 그들은 또한 자신의 삶의 흔적도 역사의 뒷켠으로 아예 잊혀졌으면 하는 간절한 바램을 갖고 있다. 대담자인 용호농장 지역 교회의 박창용 장로에 의하면 2세가 한센씨병을 앓는 사람이 없으므로, 현재 환자 1세 만으로 한센씨병 환자의 여러 가지 애환은 끝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추가. -2003.5월 현재는 소식란의 글처럼 아파트가 들어설 예정이어서 주민들과 대부분의 가구공장들이 떠나고 철거를 위해 빈집들이 대부분이다. 사진참조. -2004.6월 용호수카페의 사진처럼 용호농장의 흔적은 선착장부근만 남아있고 대부분은 철거가 되었다. 고층아파트가 들어설 예정이다. 내용출처:http://na24.ce.ro 내겐 잊을수 없는곳,,, 이곳에서 참으로 많은 사람들을 만났다,,, 그중에 나의 사랑하는 사람도 이곳에서 만났다 그러나 이젠 이곳은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말것이다, 먼훗날 이곳에서의 추억을 되살릴수 있게 사진들을 잘 간직해본다,,, 그리고 그곳 에서의 만났던 많은 사람들의 기억도 소중하게 간직한다.
장수하늘소™
2005-02-23 00: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