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 무 1 승무의 형식은 무복과 장삼의 율동 그리고 북놀이로 되어 있는데 이것들의 조화속에서 승무의 어두운 면과 밝은 명이 복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고뇌는 고뇌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희망을 안고 앞날을 기원하며 한의 비탈을 넘어서 장삼이 가지는 기개로써 자유와 영원을 희원하는 춤임을 깨닫게 된다. 따라서 승무는 인간본연의 애정과 낭만의 표현인 동세에 인간의 희비를 높은 차원에서 극복하고 승화시킨 이지적인 춤이라 할 수 있다. 승무에서 북은 매우 중요한 무구로 인가적인 고죄, 환희,한 등을 나타내는 기능을 갖고 있다. 장삼으로 표출되는 자유과 구원의 춤으로 민속무용의 모든 춤사위가 포함되어 있어 가장 어려운 춤 가운데 하나이다. 오늘날 전하는 승무는 크게 경기형과 호남형으로 구분한다. 승무가 처음 무대에 오른 것은 민속무용의대가인 한성준씨의 원각사 공연에서이다. 한영숙씨의 승무는 경기형으로 한성준씨가 창작한 것이다. 그리고 호남형으로 대표적인 것이 이매방류인데 중요 무형 문화재 제27호로 지정되었다.
정일교
2004-08-28 07:49